[1] COUNTA |
▶ 정의 |
지정한 범위에서 비어 있지 않은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. |
▶ 인수 |
COUNTA( value1, ... ..., value255) | ||
인수 |
설명 |
입력값 |
value1 |
개수를 구하는 첫 번째 셀 주소를 입력합니다. 반드시 1개의 인수는 있어야 합니다. (필수) |
숫자 |
value2 |
개수를 구하는 두 번재 셀 주소를 입력 합니다. 2~255의 인수는 선택으로 사용해도 하지 않아도 됩니다. |
숫자 |
... ... | ||
value255 |
개수를 구하는 255두 번재 셀 주소를 입력 합니다. 2~255의 인수는 선택으로 사용해도 하지 않아도 됩니다. |
숫자 |
[2] COUNTA 설명 |
▶ 설명 |
* 비어 있지 않는 셀의 개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. |
[3] COUNTA 예제 및 사용 방법 |
▶ 예제 [ 현재 출근한 사원수를 알고 싶은 경우 ] |
▶ 사용방법 |
1. 현재 출근 사원수 옆에 셀(D2)에 COUNTA 함수 수식을 입력 합니다. |
[4] 참고 사항 |
▶ 관련 함수 |
* 관련함수로는 COUNT, COUNTBLANK, COUNTIF, COUNTIFS가 있습니다. |
'엑셀강좌 > ☞ 함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OUNTIF 함수 (0) | 2019.01.16 |
---|---|
COUNTBLANK 함수 (0) | 2019.01.12 |
COUNT 함수 (0) | 2019.01.09 |
AVERAGEIFS 함수 (0) | 2019.01.07 |
AVERAGEIF 함수 (0) | 2019.01.06 |
최근 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