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[1] CHOOSE | 
| ▶ 정의 | 
| 입력값(index_num)에 의하여 인수 목록중에서 하나를 선택합니다. | 
| ▶ 인수 | 
| CHOOSE( index_num, value1, ... ... , value254) | ||
| 인수 | 설명 | 입력값 | 
| index_num | 1~254까지의 숫자를 입력하거나 참조할 셀값을 입력합니다. | 숫자 | 
| value1 | 1~254까지의 숫자, 셀 주소, 수식, 함수, 텍스트를 입력합니다. (필수 항목:생략불가) | 모든값 | 
| ... ... | ||
| value254 | 1~254까지의 숫자, 셀 주소, 수식, 함수, 텍스트를 입력합니다. (value2~value254 선택 항목: 생략가능) | 모든값 | 
| [2] CHOOSE 설명 | 
| ▶ 설명 | 
|  * 입력한 값(index_num)에 의하여 인수 목록(value1~value254)값을 선택하여 표시합니다. | 
| [3] CHOOSE 예제 및 사용 방법 | 
| ▶ 예제 [ 아래 요일표를 참조하여 입력한 값에 의하여 인수 목록중에서 요일을 표시하고 싶은 경우 ] | 
| ▶ 사용방법 | 
  
| 
 
 
 <CHOOSE 와 IF 함수 비교 설명>               ※ 위의 요일을 IF함수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됩니다.      ▶ 인수 목록이 적은 경우에는 CHOOSE 함수와 IF 함수나 크게 차이가 없지만, 
 | 
| ▶ 오류 발생 사항 
 | 
|  * index_num이 1보다 작거나 인수 목록 수보다 크면 #VALUE! 오류 값이 반환됩니다. | 
| ▶ 관련 함수 | 
| * 관련함수로는 IF가 있습니다. | 
최근 댓글